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고 기록하고/경제공부

[전산회계2급] 비전공자 이론편 요약정리 2탄(회계의 기본원리)

by 쟁2 2022. 7. 17.
반응형

안녕하세요, 쟁이입니다.

 

요즘 전산회계 2급 시험 준비를 열심히 하고 있는데요,

이번에도 요약정리한 내용을 가지고 와 보았습니다!

 

저는 박쌤 인강을 들으며 에듀윌 전산회계 1급을 1회독 했고,

남은 시간은 이론내용을 정리하며 기출문제를 풀어볼 예정이에요.

 

저의 공부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봐주세요!

2022.06.22 - [공부하고 기록하고/경제공부] - [전산회계2급] 시험일정 및 비전공자 공부방법(에듀윌책후기, 박쌤인강)

 

회계상 거래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거래와 차이가 있습니다.

화재나 도난, 분실과 같은 사건이 일어났을 때 회계상 거래가 이루어졌다고 하는데요,

이를 이용한 문제들이 다수 출제되고 있으니 익혀두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종업원의 채용과 상품의 주문과 같은 거래는 일반적인 거래에는 해당되나 회계상 거래는 해당되지 않아요!

 

또, 계정이란 어떤 항목의 증가와 감서를 구분하여 기록, 계산하는 것이라는 것과

계정에 표시되는 명칭인 계정과목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두면 좋습니다.

 

거래의 8요소에 따라 차변과 대변으로 나뉘어 기재를 하는데요,

항상 모든 거래는 차변과 대변에 각각 기입을 해주어야 합니다.

 

이렇게 나누어 기입하는 것을 분개라고 합니다.

 

자산, 부채, 자본의 증가와 감소, 비용과 수익의 발생에 따라 각각 다르게 기재해 주어야 하는데요,

굳이 외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익혀지실 거예요.

(분개를 수도 없이 많이 하다보면 체화됩니다...^^..)

 

위의 내용은 아주아주 자주 나오는 개념들입니다.

당사 발행 수표일 때는 당좌예금, 동사 발행 수표일 때는 현금!

 

어음은 상거래에 해당 되는지 아닌지에 따라 계정과목이 다르니 유의하셔야 합니다.

 

상품을 구매할 때는 차변에는 상품, 대변에는 현금 혹은 당좌예금을 기재해주고

상품 이외의 자산을 구매할 때는 대변에 미지급금을 기재해주어야 합니다.

 

자산을 판매할 때는 대변에 상품매출을 기재해주면 됩니다.

차변에는 현금 혹은 받을어음으로 기재해주면 됩니다.

 

자기앞수표나 타인발행수표를 받았을 때 모두 현금에 해당된다는 것 꼭 외워주세요!

(제가 문제 풀면서 자주 헷갈리고 틀리는 개념이었어요 ㅎㅎ..)

 

계약금은 크게 어렵지 않아요.

위에 정리된 개념을 한번 보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계약시 선급금, 선수금으로 각각 차변, 대변에 들어갔던 계정과목이

판매시 반대에 들어가 상쇄되는 모습을 보실 수 있으실 거예요.

 

채권과 채무에 따라 각각 단기(장기)대여금, 단기(장기)차입금 기재해주시면 됩니다.

이자수익 및 비용이 발생했을 때 각각 대변, 차변에 기재해주시면 됩니다!

 

또 전표와 분개장의 개념 및 거래 종류도 종종 출제되니 개념을 한 번씩 봐두시면 좋습니다.

 


 

전산회계 시험이 3주 정도 남았네요.

다들 남은 기간 동안 열심히 공부하셔서 원하는 결과 꼭 얻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저도요,,ㅎㅎ)

 

그럼 저는 다음에 또 요약정리한 내용 가지고 와볼게요!

모두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