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쟁이입니다.
다들 전산회계 2급 시험 접수는 잘 하셨나요?
저는 시험 응시하는 과정이 이렇게 박터질 줄은 몰랐습니다...
(방탄소년단 콘서트 하는 것 만큼 박진감 넘쳤습니다.. ^^..)
어째저째 시험 접수까지 잘 마무리했으니, 이제 공부할 일만 남아있겠죠?
그럼 요약정리 시작할게요!
먼저 당좌자산에 대해 알아볼게요. 당좌자산은 유동부채에 해당하죠?
당좌자산은
1) 현금
2) 보고기간 종료일부터 1년 이내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
이렇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종류는 정리된 내용을 한 번 읽어봐주세요!
그 중 몇 가지 내용을 아래에서 다뤄볼게요.
먼저 현금및현금성자산은 가장 유동화가 높은 자산입니다.
현금에는 지폐와 동전 뿐 아니라, 타인발행수표와 자기앞수표도 해당이 됩니다.
또 보통예금과 당좌예금, 현금성자산인 여러 금융상품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시험문제로는 현금및현금성자산이 아닌 것이 보기로 많이 출제가 되는데요,
특히 우표, 선일자수표, 당좌차월과 같은 항목들은 눈여겨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유동부채는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지급 시기가 1년 이내 도래하는 부채인데요,
외상매입금과 지급어음, 미지급금 등의 계정과목이 이에 속합니다.
마찬가지로 위의 종류들을 한번씩 읽어봐주시면 됩니다.
지금 당장 이해가 가지 않더라도 한번 개념만 훑어보고 문제를 많이 푸시는 것이 좋아요.
문제를 풀면서 개념이 더 이해가 잘 되기 때문에 비전공자들은 문제를 풀면서 감을 익히는 것을 추천드려요!
실제 잔액과 장부상 잔액이 일치하지 않을 때 '현금과부족'이라는 임시계정을 사용합니다.
실제 현금잔액과 장부잔액 중 부등호가 큰 곳에 '현금' 계정과목을 기재해주시면 됩니다.
차액이 있는 이유가 밝혀졌을 경우 각각 비용, 수익 계정과목을 기재해주면 되지만
기말까지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을 때는 각각 잡손실, 잡이익 처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이번에는 단기투자자산입니다. 위의 네 가지 계정과목을 정리해두었어요.
각각 당좌자산 및 투자자산에 속하니 계정과목과 분류, 유가증권 분류 내용을 봐두시면 좋겠네요.
단기매매증권의 경우 최초측정은 취득시점의 공정가치로 인식합니다.
만약 애플의 주식이 구매 당시 시가가 1,000원이라면 1,000원으로 인식하면 됩니다.
발생하는 수수료비용은 비용처리, 배당금수익 및 이자수익은 수익처리 해주면 됩니다.
처분할 때는 장부금액과 순처분금액을 비교하여
각각 단기매매증권 처분이익 및 단기매매증권 처분손실로 분개해주면 됩니다.
단기매매증권 처분손익은 순처분가(처분가-처분관련비용) - 장부금액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기말평가시 후속측정을 해주어야 하는데요, 보고기간 종료일 기준의 시가로 평가해주면 됩니다.
각각 단기매매증권평가손실 및 단기매매증권 평가이익으로 분개를 해주면 됩니다.
전산회계 2급은 꼭 문제를 풀면서 감을 익히는 것이 좋아요.
특히나 비전공자라면 개념만으로 충분히 이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꼭!! 이해가 덜 되더라도 문제부터 푸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럼 저는 다음에 또 요약정리하여 오겠습니다. 모두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공부하고 기록하고 >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회계2급] 비전공자 이론편 요약정리 5탄(계정과목론) (0) | 2022.08.14 |
---|---|
[전산회계2급] 비전공자 이론편 요약정리 4탄(회계의 기본원리) (0) | 2022.07.24 |
[전산회계2급] 비전공자 이론편 요약정리 2탄(회계의 기본원리) (0) | 2022.07.17 |
[전산회계2급] 비전공자 이론편 요약정리 1탄(회계의 기본원리) (0) | 2022.07.03 |
[경제주간지] 부업이 일상이 된 MZ 세대, 요즘 뜨는 부업을 알아보자! (0) | 2022.06.26 |
댓글